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장군 제2선거구

덤프버전 :

||
파일:기장군_제2선거구8.png
선거인 수69,169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기장군 일부
장안읍, 정관읍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승우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북부 지역을 관할한다. 부산광역시의회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선거구다. 사실상 부산시내보다는 양산시와 더 인접해 있다. 고리 원자력 본부가 이 곳에 위치해 있다.

원래 보수 성향이 초 강세였던 곳이지만, 정관신도시로 인해 모든 것이 뒤바뀌었다. 정관신도시에 외지인이 목표 인구보다 훨씬 많이 입주하면서 부산에서 가장 보수세가 약한 지역이 되었다. 다만 장안읍의 인구가 지분이 비록 적지만 국민의힘에게 몰표를 주므로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려면 정관읍에서 엄대엄 수준이 아니라 격차가 5%p 이상 나와야 되는 지형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기장군 제2선거구
제2대최현돌
ta-hash-start=w-9b64b3e5c039af1a762566cff8c1edc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1][2]
제3대김유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제4대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5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4]
제6대김수근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5]
제7대김쌍우
ta-hash-start=w-aa13379de5ab83d16cd1c4fb5f6bc9e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구경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6][7]
제9대이승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8]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현돌(崔鉉乭)6,3221위

ta-hash-start=w-09ad8f6b692717316913809f9903fd0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7.63%당선
2강현호(姜賢鎬)3,9192위

무소속

23.33%낙선
3신창규(辛昌圭)2,8574위

무소속

17.00%낙선
4장석수(張石守)3,6993위

무소속

22.02%낙선
선거인 수21,862투표율
80.81%
투표 수17,667
무효표 수870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유환(金有煥)8,117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5.38%당선
2신창규(辛昌圭)6,5392위

ta-hash-start=w-4a313d619fd92e27aee8868964f8b5f7[[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44.61%낙선
선거인 수22,021투표율
69.38%
투표 수15,280
무효표 수624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유환(金有煥)6,16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5.24%당선
3김정헌(金正憲)3,9772위

무소속

29.17%낙선
4조창국(趙昌國)3,4863위

무소속

25.57%낙선
선거인 수21,045투표율
67.18%
투표 수14,140
무효표 수509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유환(金有煥)7,18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8.28%당선
6강훈(姜勳)5,1392위

무소속

41.71%낙선
선거인 수19,570투표율
64.77%
투표 수12,676
무효표 수357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수근(金秀根)10,81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35%당선
7이종납(李種納)10,2552위
48.64%낙선
선거인 수37,062투표율
59.31%
투표 수21,985
무효표 수902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쌍우(金雙佑)21,6251위
59.95%당선
2정영주(鄭榮周)14,4392위
40.04%낙선
선거인 수63,972투표율
58.13%
투표 수37,193
무효표 수1,134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정관읍, 일광면, 철마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경민(具炅敃)21,7951위
45.44%당선
2이승우(李承雨)13,2082위
27.54%낙선
3김쌍우(金雙佑)12,9743위
27.01%낙선
선거인 수81,003투표율
60.86%
투표 수49,299
무효표 수1,342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정관읍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경민(具炅敃)11,0442위
38.47%낙선
2이승우(李昇祐)17,6571위
61.52%당선
선거인 수69,169투표율
42.50%
투표 수29,400
무효표 수699
정관신도시가 목표 이상급으로 커지면서 이 지역구의 인구가 12만명을 넘어 상한선을 초과하고, 옆 지역구와도 인구 격차가 2.3배나 나게 되면서 일광읍철마면을 넘겨줬다. 정관읍의 발언권이 강해지면서 더 더불어민주당에게 유리해지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부산에서 가장 해볼만한 지역구[9]라 그런지 경선을 치루기로 했다. 구경민 시의원과 이진욱 후보가 경선을 치룰려 했으나 이진욱 후보가 사퇴하며 구경민 후보가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저번 선거에 출마한 정관읍에서 재선을 한 이승우 전 군의원[10]이 원래 기장군수에 출마하려 했다가 시의원으로 선회함에 따라 재도전에 나선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구경민 후보와 이승우 후보 간의 리턴매치가 펼쳐진다.

그러나 선거 직전 더불어민주당 구경민 후보가 예비후보 시절 음주운전이 적발됨으로 민주당에 큰 악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보였으며, 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승우 후보가 60%를 얻으며 예상 이상급의 격차로 복수에 성공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이승우 후보는 정관읍에서 60%를 넘게 받으면서 이미 승부의 추를 크게 기울였다.[11] 그리고 장안읍에서도 73.1%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거기에 거들으면서 격전지임에도 이승우 후보가 60%를 넘게 받았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6.9% : 43.1%로 관내투표보다 격차가 훨씬 좁긴 했으나 15%p차 이상이였다. 윤석열 정부의 허니문 버프와 낮은 투표율을 감안해도 더불어민주당이 꽤나 고전한 편이다.

여담으로 구경민 후보는 낙선 이후 당에서도 제명되면서 정치 생명이 사실상 끝이났다.


[1] 2회 지선 기장군수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2]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3] 뇌물죄로 시의원직 상실.[4] 5회 지선 기장군수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5]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6] 장안읍, 정관읍, 일광면, 철마면[7] 2015년 9월 23일에 정관면이 정관읍으로 승격되었다.[8] 장안읍, 정관읍[9] 부산에서 유일하게 얼마 전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50%를 못 얻고 불과 80표차로 승리할 정도로 치열했다. 심지어 낙동강 벨트의 끝판왕인 명지동조차 50%를 넘는 와중에 그랬다.[10] 개명을 했는지 동일인물이 분명 맞으나 4년 전과 한자가 다르다.[11] 심지어 역대 부산광역시장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린 박형준 시장도 60% 득표는 실패했다.